문명의 진보는 축복인가 재앙인가


고대 석기시대인들은 현대인과 다르지 않은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생활은 풍요로웠다. 그들이 그렇게 오랜 시간 동안 문명의 진보를 이룩하지 않고 수렵 채집 생활에 머물렀던 이유는 그럴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하루 평균 3시간만 일하면 원하는 식량을 조달할 수 있었고 나머지 시간은 휴식과 여가활동으로 보내는 여유롭고 풍족한 삶이었다. 밤하늘을 보면서 천체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생각했고, 여러가지 신을 믿었다. 동굴에 벽화를 남기기도 했고, 도구제작 기술을 발달시키기도 했다. 그렇게 평화롭게 살던 그들은 왜 갑자기 농업혁명을 일으키게 되었을까.


그들에게도 생식압력(Re-productive pressure)은 항상 있었다. 인구증가가 조달할 수 있는 식량을 넘어서게 되면 생존의 위협을 받게 된다. 그리고 그들은 어떤 지속적인 방법으로 인구를 억제하여 그 압력에 대처하여 왔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 기후 변화로 인한 대형동물들의 멸종은 식량 위기를 불러왔고 기술의 진보를 통해 식량 생산을 늘리지 않을 수 없었다.



생산의 강화란 단위 시간당 또는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용지, 용수, 광산물 또는 에너지를 투자하는것이며, 그것은 생활수준에 가해지는위협에 대해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대응이다.


 왜 생산강화를 통한 경제문제 해결을 꾀하는가? 질 좋은 식생활, 힘드는 노역을 하지 않고 살 수 있는 가장 용이한 방법은 이론적으로는 생산의 증가가 아니라 인구를 줄이는 일이다. 


이성간의 성행위는 유전인자에 의해 명령되는 것이며 인류라는 종의 생존과 보존이 거기에 달려 있는 만큼 인간의 '소출량', 즉 출산을 줄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실제로 인류역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던 인구억제 방법은 유아살해였다.


마지막 빙하시대의 말기에 들이닥친 기후의 변화로 인해 특히 큰 사냥감이 감소하자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밖에 없었다. 수렵 및 채취라는 생산양식의 강화가 이번에는 농업채택을 위한 무대를 준비한다. 농경생활은 또 집단간의 경쟁 격화, 점점 빈번해지는 전쟁, 그리고 국가의 생성과 발전을가져오게 되는데, 이 이야기는 앞으로 더 논의할 것이다.



+ Recent posts